GraphQL.js 리졸버의 두번째 인자는 args입니다. 해당 필드에 인자가 주어지면 그 값이 들어옵니다.
GraphQL.js의 리졸버는 네개의 인자를 가지고 있습니다. 그 중 첫번째 인자는 source 입니다.
GraphQL 스키마를 정의했고, 클라이언트에서 온 요청을 서버가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알아봤습니다. 이제 클라이언트에서 온 요청에 따라 적절한 데이터를 반환하는 과정이 남았습니다. 이는 리졸버(resolver)라는 것이 담당합니다. Java쪽에서는 데이터 페처(data fetcher)라고도 부릅니다. 리졸버를 완전히 이해하면 GraphQL을 전부를 알았다고 할만큼 GraphQL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이전 글에서 GraphQL 스키마를 정의했습니다. 이제 이 스키마에 질의를 하고 그 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안녕하세요! 카카오스타일 SRE팀 네사입니다. 오늘은 카카오스타일 SRE팀에서 올해 EKS 클러스터 이전을 하며 새롭게 도입 했던 AWS Karpenter 에 대해 공유를 해보려 합니다.